1억으로 10억 집 산다? 지분형 모기지의 모든 것!

부동산 가격은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고, 내 집 마련의 문턱은 높기만 합니다. 이런 가운데 **‘지분형 모기지’**라는 새로운 주택 구입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1억으로 10억짜리 집을 살 수 있다”, “집값이 떨어져도 손해 없다”는 파격적인 문구가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는데요,
과연 지분형 모기지란 무엇이며, 어떤 사람들이 이 제도를 활용하면 좋을까요?


지분형 모기지란?

지분형 모기지는 정부나 공공기관이 집값의 일부를 공동으로 부담하고, 구매자는 나머지 지분만 소유하는 방식입니다.
쉽게 말해, 집 전체를 구매하는 대신 일부 지분만 사서 입주하는 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10억 원짜리 아파트를 지분형 모기지를 통해 구입한다면,
구매자는 1억 원(10%)만 부담하고 나머지 9억 원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SH공사 같은 공공기관이 소유하게 됩니다.

  • 입주는 100% 가능
  • 월세 아님! 지분만큼 소유권 보장
  • 추후 지분을 추가 매입하거나, 매각도 가능

지분형 모기지의 핵심 장점

✅ 1. 내 집 마련의 진입장벽 낮춘다

기존에는 수억 원의 대출이나 전 재산을 끌어와야만 집을 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지분형 모기지를 활용하면 소액 자본으로도 서울, 수도권 등 인기 지역에 거주 가능해집니다.

✅ 2. 집값 하락 시 손실 부담 없음

집값이 하락해도 공공기관과 지분을 나눠 가졌기 때문에, 전체 손실을 떠안을 필요가 없습니다.
예: 본인이 10% 지분 소유 시, 손실도 10%만 부담

✅ 3. 전세·월세보다 안정성 높음

자기 지분을 보유한 실소유자이기 때문에, 전세 만기 걱정 없이 장기 거주 가능하며
보증금 떼일 위험도 없음.


단점이나 주의할 점은?

⚠️ 1. 주택 전체 소유는 아님

처음엔 공동 소유이므로 전체 매도나 리모델링 등 결정은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 2. 시세차익은 지분만큼만

집값이 올라 매도할 경우에도, 전체 수익이 아닌 본인 지분만큼만 차익을 가질 수 있습니다.

⚠️ 3. 전매 제한 등 조건 있음

일정 기간 동안 전매가 제한되고, **입주 요건(무주택자 등)**이 적용됩니다.


어떤 사람에게 유리할까?

  • 청년,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처럼 자금은 부족하지만 거주 안정이 필요한 사람
  • 전세금이 1~2억인데, 차라리 내 집 지분을 갖고 싶은 사람
  • 향후 추가 지분 매입을 통해 점진적 자산 형성을 원하는 사람

정부는 왜 지분형 모기지를 추진할까?

정부는 이 제도를 통해 실거주 위주의 내 집 마련을 지원하고,
과도한 대출 없이도 주택시장에 ‘점진적 진입’이 가능하게 만들려는 것입니다.
또한 무주택 서민층의 주거 안정을 위한 정책 수단으로 지분형 모기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결론: 지분형 모기지는 ‘새로운 주거 트렌드’

지금까지의 주택 시장은 ‘전세 or 매매’의 양자택일이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지분 보유+거주’라는 제3의 선택지가 생긴 것입니다.

지분형 모기지는 단순한 임대 개념이 아니라, ‘소유’의 새로운 방식을 제시합니다.
특히 자산이 부족한 무주택자에게는 유리한 기회가 될 수 있으며,
주택을 구매하는 것이 막막했던 이들에게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