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으로 떠난다! 단돈 천오백원! 그런데 주민은 왜 불편할까?"

정부의 섬 관광 활성화 정책에 따라 일부 섬 지역에서는 편도 뱃삯을 1,500원으로 대폭 인하했다. 그 결과, 평소 조용하던 섬마을이 하루아침에 관광객들로 북적이고 있다. 특히 수도권에서 가까운 섬들을 중심으로 예약이 폭주하면서 섬 주민들의 불편과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관광객에겐 "가성비 여행지", 주민들에겐 "교통 생명선 마비"

이번 뱃삯 인하 정책은 국민 누구나 저렴한 가격으로 섬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에서 시작됐다. 특히 수도권에서 접근성이 뛰어난 강화도, 덕적도, 백령도, 연평도 등지에서는 하루 왕복 3,000원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으로 섬 여행이 가능해져, 주말마다 예약이 마감되는 진풍경이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기에 섬 주민들은 불편을 호소한다. 배편 수 자체가 제한적이다 보니, 주민들이 병원 진료나 생필품 구매 등 생계 목적의 이동이 어려워지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상에 필요한 이동이 '관광 수요'에 밀려 좌석을 확보하지 못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며, **‘배표 전쟁’**이라는 말이 실감날 정도다.

교통복지인가, 역차별인가…지속가능한 대책 필요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섬 관광 수요를 창출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입장이지만, 주민 중심의 운항 시스템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주민 전용 좌석을 확보하거나, 선착장 대기 우선권을 부여하는 제도 도입을 검토 중이다.

또한 장기적으로는 운항 횟수를 늘리거나 대형 선박 투입, IT 기반의 공정한 예매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관광과 거주가 공존할 수 있는 ‘균형 있는 교통 정책’ 없이는 이번 정책도 일시적 인기몰이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

섬 관광의 미래, 주민과의 공존이 답이다

관광객 입장에서는 1,500원이라는 파격적인 뱃삯은 놓칠 수 없는 기회다. 하지만 진짜 지속 가능한 관광은 지역 주민의 일상과 조화를 이룰 때 가능하다. 당장의 인파에 만족하기보다는, 주민의 삶을 해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보완하고 설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는 저렴한 가격뿐 아니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섬 관광의 미래를 결정할 때다. 관광객의 발길을 머무르게 하면서도, 주민의 생활을 존중하는 섬 여행이 되길 바란다.

반응형